조건문
머니를 5000을 선언해주고 if money=5000 if money > 3800 비교하면 5000이 3800보다 크니까 택시를 타자가 출력!
if문으로 if money(3000) > 3800 보다 적을 때 else 택시를 못타가 출력이 된다.
#money가 5000일 때 3800보다 클때 택시를 타자가 출력
#money가 3000일 때 1200보다 크거나 작을 때 버스를 타자가 출력
#moneyr가 1000일 때 1200보다 크거나 작을 때 걸어가자가 출력
사과,배,감,수박,딸기를 하나 하나 출력하기 힘든데 그래서 만들어진게 반복문입니다.
for반복문은 loop라고 합니다. 효율과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거죠
for 반복문 loop를 사용한겁니다. 사용하면 하나 하나 출력을 한해도 출력을 할 수 있습니다.
for loop문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출력을 했습니다.
loop문을 사용하면 성명 나이 등을 출력 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name과age를 추가하고 person에 age > 20 보다 큰수 출력하라라는 뜻 입니다.
결과를 보면 20보다 큰 수가 출력을 하게 됩니다.
print(i,name,age)를 출력하고 확인 후 열거함수인 enumerate(people)를 사용합니다.
enumerate는 순서를 부여해주는 함수입니다.for문과 자주사용하는 함수랍니다.
순서를 부여 해주고 싶을 때 enumerate를 사용할 때 유용하네요!
여기서 if 반복문을 사용해주고 if 함수 i 가 3보다 클 때 라고 했을 때 출력을 하면 3보다 큰 숫자인 4 ben이 출력됩니다.
반복문을 멈추기 위해서 break를 해줍니다.
Q. 리스트에서 짝수만 출력하는 함수 만들기
# 만약에 num을 2로 나누었을 때 나머지가 2,4,6 이 세가지 슷자가 짝수가 반복되서 출력이 되었습니다.
Q. 리스트에서 짝수의 개수를 출력하기
개수 출력하는건데 이건 너무헷갈려서 따로 체크해두고 공부해야겠습니다.
구글로 count=0 넣는거 까지 찿았는데 나머지는 반복문loop돌리고 if반복문으로 2나누었을 때 짝수출력하고
count+=1은 처음봐서 해설강의 들었지만 저게 왜 필요한지 몰라서 체크합니다.
Q. 리스트 안에 있는 모든 숫자 더하기
Q. 리스트 안에 있는 자연수 중 가장 큰 숫자 구하기
변수max 초기값을 설정을 해주고 반복문 loop 돌아주는데 만약에 num값이 max보다 컷을 때 라고 설정을 해줍니다.
여기서 max = num max를 num으로 변환 시켜줍니다.max는 큰값을 저장하는 공간이라고 보면 됩니다.
def는 함수명이기도 하지만 수행문입니다.
if age < 65: 만약에
print('무료입니다.') age가 65보다 큰 경우에 print('무료 입니다.')라는 문장을 수행하라는 의미입니다.
elif age >20:만약 그렇지 않으면 이건어때
print('성인입니다.'): age가 20보다 큰 경우에 프린트는 성인입니다라는 문장을 수행하라는 의미입니다.
else: 만약에 그렇지 않다면
print('청소년입니다.'): else 조건이 참 거짓일 때 수행하는 구문입니다.
나이를 입력하면 조건문이 무료가 조건에 안 맞으면 elif로 넘어갑니다 성인도 아니면 else로 넘어갑니다. 청소년입니다출력이 됩니다.